선미 ‘제페토’→블랙핑크 ‘동물의 숲’…열렸다, 메타버스 시대

메타버스(metaverse)가 연예계에도 스며들었다. 사진은 글로벌 증강현실(AR) 아바타 서비스 제페토를 만난 선미와 블랙핑크. 제페토 제공

메타버스(metaverse)가 연예계에도 스며들었다. 스타들은 컴백을 기념해 가상 공간에서 팬들과 깜짝 팬미팅이나 팬사인회를 열고, 게임 속 가상 공간을 이용해 자신들의 작업실이나 무대 세트장 등을 구현해 팬들에게 특별한 추억을 선사하기도 한다. 그야말로 ‘메타버스’의 시대다.

메타버스란 가상·초월을 의미하는 ‘메타(meta)’와 세계·우주를 의미하는 ‘유니버스(universe)’를 합성한 신조어로, 3차원 가상 세계를 뜻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현실 세계와 동일한 사회·경제·문화 활동이 통용되는 가상 세계’로 여겨지고 있다. 단순한 가상 공간을 넘어 현실과의 적극적인 상호작용이 이루어진다는 점은 메타버스의 가장 큰 특징이다.

선미는 글로벌 증강현실(AR) 아바타 서비스 제페토와 손잡고 메타버스 세계관을 적극 활용한 프로모션에 나섰다. 제페토 제공

지난 6일 3년여 만의 새 미니앨범 ‘1/6’으로 컴백한 선미는 글로벌 증강현실(AR) 아바타 서비스 제페토와 손잡고 메타버스 세계관을 적극 활용한 프로모션에 나섰다. 전 세계 3억여 명에 달하는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는 제페토는 네이버의 메타버스 서비스 플랫폼으로, AR 아바타를 기반으로 국내외 유저들이 SNS 활동부터 경제 활동까지 다양한 교류를 할 수 있는 가상 공간을 제공한다.

선미는 해당 플랫폼을 통해 본격적인 컴백 전 ‘컴백 페스티벌 맵’을 개설했다. 이 곳에서는 해당 맵에 숨겨둔 새 미니앨범의 미공개 티저 사진을 찾는 이벤트가 진행됨과 동시에 각 유저들이 선미가 컴백 티저 속에서 입은 의상과 소품도 착용해 보거나 구입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다. 최근 문화 소비 트렌드의 중심에 서 있는 MZ 세대가 뜨겁게 반응 중인 플랫폼을 활용한 만큼, 트랙리스트나 타이틀 곡명, 음원 일부 등도 제페토에서 가장 먼저 공개하며 프로모션 효과까지 겨냥했다. 또 지난달에는 선미가 직접 자신의 AR 아바타 ‘선미’로 제페토에 접속해 팬들과 깜짝 팬미팅을 진행하며 보다 가까운 소통을 진행하기도 했다.

그룹 블랙핑크는 닌텐도 스위치의 인기 게임인 ‘모여봐요! 동물의 숲'(이하 ‘동물의 숲’)을 택했다. YG엔터테인먼트 제공

최근 데뷔 5주년을 기념해 다양한 프로모션을 진행했던 블랙핑크는 닌텐도 스위치의 인기 게임인 ‘모여봐요! 동물의 숲'(이하 ‘동물의 숲’)을 택했다. 지난 6일 블랙핑크는 ‘동물의 숲’ 속 가상 세계에 자체 섬인 ‘InYourArea'(인유어에리아)를 열었다.

‘동물의 숲’ 유저라면 누구나 방문 가능한 해당 섬에는 블랙핑크의 리얼리티 프로그램 장소로 화제를 모았던 ‘블핑하우스’를 비롯해 ‘THE SHOW'(2021) 공연장, ‘Kill This Love’ ‘마지막처럼’ ‘Ice Cream’ 뮤직비디오 속 세트 등 다양한 무대가 구현됐다. 또 YG엔터테인먼트 신사옥 내 녹음실, 댄스 연습실 등 블랙핑크가 실제 작업하고 지내는 공간까지 현실감 있게 재현됐다.

이는 블랙핑크 데뷔 5주년을 맞아 준비한 이벤트로, 코로나19 시국 속 시공간의 경계를 허물고 글로벌 팬들과의 접점을 확대하며 소통을 이어가겠다는 취지로 진행됐다. 블랙핑크는 이미 제페토를 통해 신개념 팬사인회를 개최하는 등 MZ세대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한 다양한 메타버스 콘텐츠 도전을 이어온 바, 이들이 새롭게 선보인 ‘동물의 숲’ 프로모션 역시 현재 가장 핫한 트렌드를 흡수하고 쌍방향 소통을 통한 팬층 다지기를 위한 행보로 해석된다.

그룹 에스파는 메타버스를 단순한 프로모션 개념이 아닌 그룹 자체의 세계관에 접목시켜 보다 광범위한 활용에 나선 사례다. SM엔터테인먼트 제공

메타버스를 단순한 프로모션 개념이 아닌 그룹 자체의 세계관에 접목시켜 보다 광범위한 활용에 나선 사례도 있다. 지난해 SM엔터테인먼트에서 데뷔한 그룹 에스파다.

에스파는 AI 기술로 구현된 아바타 멤버인 ‘아이’와 네 명의 실존 멤버들이 싱크를 통해 소통한다는 미래지향적인 콘셉트로 데뷔 당시부터 큰 화제를 모았다. 이들은 데뷔곡 ‘블랙맘바’를 시작으로 최근 흥행에 성공한 ‘넥스트 레벨’까지 뮤직비디오 및 음악 방송 등 무대를 불문하고 메타버스를 적극 활용한 세계관을 이어오고 있다.

메타버스 세계관을 접목시킨 가요계의 새 문화 트렌드는 SM 이수만 총괄 프로듀서의 말에서도 묻어났다. 에스파의 데뷔 당시 이 회장은 “미래 세상은 셀러브리티와 A.I.의 세상이 될 것”이라는 소개와 함께 SMCU(SM Culture Universe)의 첫 주자로 멤버들을 소개했다. SM은 향후 SMCU를 통해 현실과 가상의 경계없이 전 세계가 문화로 연결된 미래의 엔터테인먼트 세상, 함께 미래 세계관이자 메타버스 세상을 만들어나가겠다는 목표다.

하이브는 글로벌 팬 커뮤니티 플랫폼 위버스(Weverse)에 메타버스를 접목했다. 위버스 제공

이수만 회장뿐만 아니라 현재 K팝 시장을 선도 중인 주요 기획사들 역시 메타버스 세계관을 주목 중이다. 그 시작은 각 소속사들이 선보이고 있는 팬 커뮤니티 플랫폼 ‘위버스'(하이브), ‘디어유 버블'(SM, JYP 등)에서부터다. 또한 현재 국내에서 유일하게 글로벌 증강현실(AR) 아바타 서비스를 제공 중인 제페토에도 적극적인 투자를 진행하며 향후 몸집을 불릴 메타버스 시장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냈다. 제페토를 운영 중인 네이버 제트에 각 소속사들이 투자한 금액은 하이브가 70억 원, YG인베스트먼트와 YG플러스가 50억 원, JYP엔터테인먼트가 50억 원 가량이다.

정부 역시 상대적으로 뒤처진 국내 메타버스 산업 활성화를 위해 수백 억 원대의 예산을 편성하며 국내 메타버스 시장은 앞으로도 가파르게 성장할 전망이다. 자연스럽게 연예계에서도 코로나19 시국, 물리적인 거리나 스케줄과 관련한 문제, 글로벌 팬덤과의 소통책 마련 등을 위한 메타버스 활용 사례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아직 풀어나가야 할 지점도 있다. 메타버스의 활성화로 인해 발생 가능한 범죄, 가상 화폐 사용 중 발생할 수 있는 불법 거래, 확장되는 메타버스 세계관 속 이용자들이 느낄 수 있는 현실과 가상 세계 사이에서의 혼란 등에 대한 대안책은 산업 확대와 발맞춰 마련해 나가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합당한 대응책을 마련하고 긍정적인 메타버스 활용을 이어나갈 때, 메타버스는 진정한 연예계의 새 미래가 될 것

출처: 홍혜민 기자  원문보기

가상현실로 접속한 패션월드

패션이 올라 탄 가상 현실의 세계.

우리는 디지털 시대를 넘어 가상현실의 시대를 살고 있다. 이런 흐름의 변화는 MZ 세대를 중심으로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최근 뉴스에서 접한 놀라운 소식은 메타버스(삼차원 가상 현실 세계) 플랫폼인 로블록스(Roblox) 안에서 치솟은 구찌 백의 가격. 구찌의 디지털 디오니소스 백이 실제보다 비싼 35만 로벅스(로블록스에서 통용되는 가상화폐), 한화로 약 4백 65만원에 판매됐다는 사실이다.

게임은커녕 로블록스 같은 가상 세계와도 거리가 먼, 아날로그가 더 좋은 필자에겐 가히 놀라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이처럼 뜨거운 현상을 일으키는 가상현실 세계가 대관절 무엇이길래 만질 수도 멜 수도 없는 백이 실제보다 비싼 값에 팔렸을까?

정리하자면, 로블록스 내 리셀러들에 의해 리미티드 에디션으로 선보인 구찌 백이 재판매됐는데, 실제보다 비싼 값에 팔렸다는 것. ‘한정판’이란 수식어는 현실은 물론 가상현실에서도 결정적 역할을 했다. 로블록스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 인터뷰와 블로그, 유튜브 채널 등에서 검색을 이어가자 로블록스에서 패션 아이템을 얻는 갖은 방법들이 쏟아졌다.

친절히 소개된 아이템 획득 방법을 따라 수시로 로블록스에 접속하면 이벤트 속 하이 패션 아이템을 손에 넣을 수 있었다. 로블록스의 가상공간은 단순히 게임을 즐기고 상대와 소통하는 공간을 넘어 현실 속 나의 공간이나 다름없었다.

로블록스는 메타버스를 기반으로 한다. 여기서 메타버스는 가상, 초월을 의미하는 메타(meta)와 우주, 세계를 뜻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 이를 제대로 알기 전 먼저, 변화의 흐름을 되짚어볼 필요가 있어 보인다.

사실, 패션 브랜드들이 가상현실과 게임에 빠진 건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가상현실(VR) 기법을 활용해 의상을 가상으로 경험하게 하거나 아바타 모델을 내세워 디지털 스토어를 운영하기도 했다. 게임 속 아바타에 컬렉션 피스를 입혀 등장시키고, 콜라보레이션 컬렉션을 론칭하는 등 가상공간 속 게임을 도입하는 패션 브랜드들의 움직임은 끊임없이 이어져왔다.

구찌는 노스페이스와 협업해 포켓몬고 아바타 전용 아이템을 선보인 데 이어 모바일 게임 ‘테니스 클래시’와 협업을 진행했고, 루이비통은 ‘리그 오브 레전드’ 캡슐 컬렉션을 출시해 게이머들을 열광하게 했다.

패션 브랜드들의 다채로운 의상을 상점에서 손쉽게 만날 수 있는 게임 ‘동물의 숲’ 역시 패션계의 판도를 바꾼 사례. 캐릭터 자체에서 영감을 얻는 데 그치지 않고 자체 게임을 개발하기도 했는데, 8비트 아케이드 게임 ‘구찌 비(Gucci Bee)’, ‘구찌 에이스(Gucci Ace)’를 비롯해 루이 비통의 ‘엔드리스 러너(Endless Runner)’ 역시 게임 이상의 쾌감을 선사하며 인기를 끌었다.

이후 그 인기는 이번 시즌 발렌시아가의 비디오게임 ‘애프터월드: 디 에이지 오브 투모로우(After World: The Age of Tomorrow)’로 옮겨졌다. 팬데믹 시대의 달라진 패션쇼 방식이 이번엔 비디오게임으로 진화한 것으로, 발렌시아가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뎀나 바잘리아는 2021 가을 컬렉션을 50여 명의 아바타 모델들에게 입히고 2031년 미래 세계를 탐색하며 모험을 시작하는 기록 경신형 비디오게임으로 컬렉션을 소개했다.

히어로 아바타들이 미션을 하나씩 수행하며 암흑 속의 디스토피아가 다시금 균형 있는 현실 세계로 되돌아가는 모습을 보여주는데, 놀라운 것은 게임 속 아바타 캐릭터는 물론 게임 세상의 리얼리티. 실제 현실과 오버랩될 만큼 사실적인 게임 속 여정에서 상호작용은 끊임없이 이어진다.

그만큼 컬렉션 역시 순식간에 각인되는 자연스러운 현상을 경험하게 했다.

게임에 이어 메타버스 같은 현실주의적 가상 세계는 빠르게 진화하며 패션은 물론 예술, 경제 등 수많은 산업 체계에 스며들었다. 미국 10대의 로블록스 이용 시간이 유튜브의 배에 이르고, 네이버 Z가 만든 제페토(Zepeto) 역시 전 세계 사용자가 2억 명을 넘어설 만큼 글로벌 메타버스는 그 영역을 무섭게 확장하고 있다.

게임에 친숙하고 가상현실이 자신들의 무대인 MZ 세대를 비롯해 그다음 세대인 알파 세대(2011년에서 2015년 사이에 태어난 세대)가 새로운 소비의 주역이 된 지금 발렌시아가를 비롯해 구찌, 루이 비통 등 수많은 하이 패션 브랜드가 게임 패션 산업에 열정을 보이는 건 당연한 흐름의 변화다. 게임은 물론 하이패션에 대한 열망을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가상 구매로 충족하는 방식 또한 그들에겐 자연스러운 쇼핑 방식일 테니 말이다.

하이패션 브랜드의 백을 한화 약 1만원에, 스니커즈를 약 1만4천원에 구입할 수 있다니 고민하거나 한계를 정할 필요도 없다. 보다 정교하고 섬세해진 디지털 기술로 가상과 현실 세계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는 지금, 만약 아직은 낯선 메타버스에 올라탔다면 가상 세계가 제공하는 소소한 경험을 즐기며 쇼핑 리스트에 올려둔 패션 아이템으로 새로운 자신만의 아이덴티티를 구축해보시라. 우리가 맞이할 가상현실은 생각보다 즐거운 판타지로 가득할테니.

출처: 유리나 원문보기